[flight(항공)계열] flight(항공) 공역관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15:51본문
Download : 공역관리.hwp
다. 공역과 영공
관련 레포트나 시험정보로 사용하세요 ^^
② 공역 : 비행 안전을 위한 책임 범위. 항공교통관제시설 단위로 설정.
공역의 개념 , 공역의 설정 , 공역 설계의 목적 , 공역의 구성 , 공역관리
5. 공역관리
무한대의 중간 -> 이 곳을 비행하는 항공기와 인공위성
1. 공역의 개념(槪念)
< 본문일부 >
대기권을 공역의 한계로 정한다.① 항공기 : 공기역학적 속성 에 의해 부양하는 기체 공역과 마찬가지로 항공법의 규제대상.
항공 공역에 관한 내용입니다.
2. 공역의 설정
① 공간 (Airspace) : 항공기의 비행을 위하여 자유롭게 개방되어 있는 장소.
1. 공역의 개념(槪念)
순서
설명
[참고data(資料)] 없음 [data(資料)범위] 없음 [이용대상] 없음
② 인공위성 : 공역의 고도한계를 무한대까지 설정. 우주를 비행. 항공법의 적용 받는 것이 아니라 우주공간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각종 조약이나 이를 법원으로 하는 우주법의 규제 대상.
< 목차 >
-> 공간은 범위가 모호한 반면, 공역은 평면적, 입체적으로 그 범위를 분명하게 밝혀두는 것이 관례이다.





가. 공간과 공역
다. 관련 레포트나 시험정보로 사용하세요 ^^ [참고자료] 없음 [자료범위] 없음 [이용대상] 없음
3. 공역 설계의 목적
[flight(항공)계열] flight(항공) 공역관리
4. 공역의 구성
나. 공역과 우주
③ 영공과 혼동되는 공역인 비행정보구역 (FIR) : 비행 중인 항공기의 운항안전을 위하여 항공교통관제업무와 비행정보업무를 제공하고, 조난 및 사고 발생 시 수색 및 구조와 사 고 조사를 담당하기 위하여 이런 업무 제공의 국제적 책임 분당 구역.
② 공역 (Navigable Airspace) : 비행에 적합하도록 통제를 통한 안전조치가 이뤄진 장소.
레포트 > 기타
③ 공역 (Airspace) : 그 한계를 공기가 존재하는 고도까지로 한정.
Download : 공역관리.hwp( 51 )
① 영공 : 자극의 영토와 영해 (12해리) 상공의 공간으로서 해당 국가의 고유 주권과 지위 권이 방사되는 권한 범위의 것이며 국가 단위로 설정.
④ 우주공간 : 대기권을 공역의 한계로 하고 그 이상의 고도에 속하는 공간으로 외기권 (Outspace) 으로 하여 우주공간으로 보려함.
flight(항공) 공역에 관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