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꼭두각시놀음의 후대적 변모 양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17:08
본문
Download : 꼭두각시놀음의 후대적 .hwp
이 지역에서 꼭두각시놀음의 명칭은 대체로‘박첨지, 홍동지놀이’로 통용되었다. 강원도 지역의 경우, 춘천, 양양군, 강릉, 정선군, 영월군, 원주, 홍천군, 철원군, 평강군 등지에서 연희되었다는 보고는 유의할 만 하다.
3. 인물성격의 동적變化(변화)
Download : 꼭두각시놀음의 후대적 .hwp( 93 )
꼭두각시놀음 골계 서산박첨지놀이 정서적효과 그로테스크이미지
설명
다. 이를 뒷받침 해 주는 근거로 현재까지 조사된 data(자료)를 종합해 보면, 꼭두각시놀음은 남사당패와 같은 유랑집단에서 연희되었을 뿐만 아니라 전국의 여러 지역에서 전승되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내용적인 측면에서 최근세의 사회상을 많이 담게 된 것도 놀이의 역싸성을 시사해 주는 단적 증거이다. 꼭두각시놀음의 후대 모습인 박첨지놀이는 서산 지역에서 연희되던 인형극으로 6․25 이후 서산군 음암면 문당리 지역에 전승된 꼭두각시놀음의 다른 이름으로 추정된다 박첨지놀이의 전승자 김동익 씨는 6.25 당시 강원도에서 피난 온 주연산 씨에 의해 인형 만들기 및 놀이가 전해진 뒤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說明(설명) 한다.
꼭두각시놀음 골계 서산박첨지놀이 정서적효과 그로테스크이미지 / ()
5. 정서적 effect와 주제
순서
2. 사건 전개에 따른 상황의 變化(변화)
꼭두각시놀음은 현재까지 구비전승 되고 있는 전통적인 인형극으로 구비전승되는 민속을 찾아 보존하려는 움직임과 더불어 그 존재가 인정되기 처음 했다.
4. 인물들의 골계적 이미지
1. 문제제기
레포트 > 기타
꼭두각시놀음의 후대적 변모 양상
꼭두각시놀음 골계 서산박첨지놀이 정서적效果(효과) 그로테스크이미지 / ()





6. 마무리
이로 보아 서산에 정착된 인형극은 강원도 지역에서 연희되던 꼭두각시놀음으로 명칭이‘박첨지놀이’라는 것과 현대에 전승된 것이니 만큼 특이한 변이 양상을 지녔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산 박첨지놀이는 전통적인 꼭두각시놀음에 비해 역싸가 그리 길지 않고, 놀이가 전승될 당시 이미 전국 각지에서 꼭두각시놀음이 성행했던 만큼 다른 채록본들의 influence을 많이 받았으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구전되는 과정에서 내용이나 연희방식이 원형을 벗어나 현대적으로 재구성된 듯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