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의 기능과 효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11:43
본문
Download : 김치.hwp
그리고 상고시대때 김치류를 총칭하는 말로 소금에 절인 야채를 뜻하는 침채(沈菜)라는 말에서 오늘날 김치의 어원을 찾을 수 있다.
김치의 기능과 효능





순서
3. 각 지역별 대표 김치
3. 각 지역별 대표 김치
▶ 김치의 어원
김치의 기능과 효능
김치의 기능과 효능 1. 김치의 역사 ▶ 김치의 어원 ▶ 김치의 유래 ▶ 김치의 변천사 2. 김치의 종류 3. 각 지역별 대표 김치 4. 김치의 기능과 효능
▶ 김치의 유래(由來)
김치의 기능과 효능
다. 저(菹)라는 말은 조선시대의 성종 6년(1475)에 와서 성조의 생모인 인수대비가 부녀 교육을 위하여 엮어낸 내훈(內訓)에 보면「저(菹)」가 「딤 (딤채)」(※ 김치박물관 주: 는 ㅊ 밑에 고어인아래아가 있는 것인데 입력 기호상 아래아 표기가 되지 않아 로 표기하였음.)그리고 성종 12년(1481)에 간행된 두시언해(杜時諺解)에서 「저」를 「디히」라는 말로 번역을 하였다.
Download : 김치.hwp( 90 )
▶ 김치의 어원
레포트 > 기타
설명
김치의 어원
2. 김치의 종류
1. 김치의 역사
약 3천년 전의 중국 문헌 시경(詩經)에 오이를 이용한 채소절임을 뜻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저(菹)라는 글자가 나온다. 그 후 중종(1505~1544)때 최세진이 한자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훈몽자회(訓蒙字會)에 「저」를 「딤 조」라고 하였다. ▶ 김치의 변천사
김치의 기능과 효능
▶ 김치의 변천사
4. 김치의 기능과 효능
1. 김치의 history(역사)
2. 김치의 종류
4. 김치의 기능과 효능
▶ 김치의 유래
침채(沈菜)가 오랜 세월을 거치는 동안 침채→딤채→김채→김치로 變化(변화)하면서 김치가 되었다. 이것이 김치에 대해 언급한 최초의 문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