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9개 기술분야별 전문위원회 위원 50% 교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20:22
본문
Download : 2007011.jpg





과기부 9개 기술분야별 전문위원회 위원 50% 교체
과기부 9개 기술분야별 전문위원회 위원 50% 교체
설명
과기부 9개 기술분야별 전문위원회 위원 50% 교체
레포트 > 기타
과기부 관계자는 “전문위원회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위원의 50%를 매년 교체키로 했고 동시에 전원을 교체할 경우 업무 연속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절반의 인원을 교체하는 안을 선택했다”며 “전문위원으로는 기존 기술분야별 전문가 외에 경제계 인사·사회과학자·환경市民단체 등으로 대상을 넓혀 더욱 다양한 意見(의견)을 듣도록 했다”고 말했다.
과기부는 △정보전자 △기초 △기계 △부품소재 △국방 △생명 △해양 △에너지·자원 △환경기상 등 9개 분야에서 운영중인 기술분야별 전문위원회의 개편을 추진 중이라고 11일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여성과 지방 과학자 등을 적정 인원 배치하는 것도 주요 방향 가운데 하나”라고 덧붙였다. 주요 기능은 조언과 심의며 최종 결정권은 갖지 않는다. 전문위원들은 이후 국가 R&D사업에 대한 학습 등을 통해 관련 업무를 익히고 분야별 다양한 정책제안과 R&D 방향 설정 등에 나서게 된다 국가 R&D와 관련한 모든 사업에 관여하게 된다
과기부 9개 기술분야별 전문위원회 위원 50% 교체
과학기술부가 연구개발(R&D) 기획·조언 및 관련 예산 심의에 참여하는 9개 기술분야별 전문위원회의 위원 50%를 매년 교체키로 했다.
다.
김승규기자@전자신문, seung@
한편 전문위원 대상에서 에너지관리공단이나 산업기술평가원, 과학재단 등 전문관리기관 인력과 프런티어 사업단장 등 주요 연구사업 책임자급은 배제된다 실제로 사업관리 주체와 수행주체가 심의까지 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다. 과기부는 민간의 다양한 시각을 반영하기 위해 지난 2005년 전문위원회제도를 도입했다.
순서
과기부는 이달 말까지 기술분야별 전문위원 선정작업을 모두 마치고 2월 초 모든 전문위원이 참여하는 전체 전략회의를 서울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개최키로 했다.
Download : 2007011.jpg( 56 )
분야별로 15∼20인의 산·학·연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위원회는 국가 R&D 정책 기획과 중장기 계획 수립·조언, 국가 R&D사업의 예산 조정에도 참여한다.